본문 바로가기

하늘, 별, 우주

제임스웹 망원경의 놀라운 발견: K2 188b, 물로 뒤덮인 신비한 행성

목차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이 찍어낸 놀라운 소식을 전해드릴게요. 바로 K2 188b, 물로 뒤덮인 신비로운 행성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K2 188b: 액체 물로 뒤덮인 바다행성

     

    천문학자들의 오래 전부터 K2 188b라는 외계행성이 전체가 물로 덮인 바다 세계일 것으로 예상해왔어요. 그런데 최근의 제임스웹 망원경 관측에 따르면 K2 188b 행성이 단순히 바다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외계 생명체가 실제로 존재할 수도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어요.

    K2 188b (출처: 위키피디아)

     

    액체 상태의 물과 바다: 생명체 존재의 첫번째 요소

     

    K2 188b 외계행성 내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첫번쨰 근거는 액체상태로 덮인 바다의 존재에요.

     

     

    연세대학교 은하진화 연구센터의 한 전문가에 따르면, 액체상태의 물이 외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고체만이나 기체만으로는 생명 활동이 어렵기 때문에 액체 물이 필요하다고 해요. 이전까지는 태양에서 비롯된 빛과 열이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과 성장을 일으켜 생명체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액체 상태의 물과 바다가 생명체 유지에 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고 하네요.

     

    실제로 제임스웹이 K2 188b의 메테인과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대기권을 투과하여 관측한 결과, 물로 이루어진 바다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디메틸 설파이드와 플랑크톤: 생명체 존재의 두번째 요소

     

    K2 188b 외계행성 내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두번째 근거는 플랑크톤의 양분이 되는 디메틸 설파이드의 존재에요.

     

    디메틸설파이드가 만들어가는 생태계 (출처: SeeHint)

     

    액체 상태의 물로 이루진 바다에서 생태계가 존재하려면 먹이사슬의 가장 기저에 있는 플랑크톤의 존재가 필수적이에요. 최근 제임스웹 망원경으로 관측된 외계 행성 K2 188b의 데이터에서 디메틸 설파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화학 물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현재의 기술적 한계로 화학 물질들의 특정 파장대에서의 흡수 특성은 서로 겹쳐서 해석이 어렵려웠던 부분이 있었지만,  미래 관측에서는 파장 범위를 더 확장하여 디메틸 설파이드의 특별한 흔적을 좀 더 뚜렷하게 확인하고, 외계 생명체의 신호를 높은 확률로 확인할 수 있는 근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미래 기술의 발전과 기대: 더 큰 우주 망원경과 렌즈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NASA 제공 (동아사이언스 재인용)

     

    제임스웹 망원경은 거대한 렌즈를 효과적으로 우주로 발사하고 펼칠 수 있는 기술을 발전시켰어요. 거대한 렌즈를 접어서 로켓에 실어올리고, 우주에서 펼치는 기술을 적용한 덕분에 더 큰 렌즈로 우주를 관측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고 하네요. 이처럼 제임스웹에 적용한 기술 덕분에 미래에는 더 크고 놀라운 우주 망원경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돼요. 이러한 발전은 천문학 연구에 새로운 시대를 열어줄 것이에요.

     

    우주의 신비에 다가가는 첫걸음

     

    지구 이외의 행성에서 물 속에 감춰진 생명체의 흔적을 찾다니, 정말 흥미롭지 않나요? K2 188b의 발견으로 인해 우주의 신비에 다가가는 여정이 더욱 확장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물의 행성과 신비로운 우주의 이야기를 기대해봐요! 🚀✨

     

    * 관련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에 대해서도 알아봐요.

    2023.11.26 - [하늘, 별, 우주] - 제임스웹 망원경: 우주의 신비를 밝히다

    728x90
    반응형